킴벌리의 댄스살롱

[댄스살롱] 왈츠의 홀드(Hold)와 대각선 회전

기사입력 [2018-10-19 21:22]

1935년 영국무도교사심의위원회에서 공인된 이후로 지금까지 왈츠의 기본 피겨들은 대각선 회전(Diagonally Turn)에 준합니다.

가령, 비스듬히 벽을 향해 시작한 내추럴 턴은 마지막 6보가 끝났을 때에 중앙을 비스듬히 바라보게 됩니다. 이렇게 되려면 세 박자로 이루어진 매 소절마다 3/8회전을 해야 하는데, 3/8회전을 세련되게 한다는 것이 초심자에게는 결코 쉽지 않습니다.

 

스텝의 타이밍(Timing), 풋워크(Footwork), 그리고 홀드(Hold)를 잘 유지해야만 가능한 일이기에, 연습과정에서 크고 작은 충돌과 밟힘을 경험하게 됩니다

그래서인지 대다수 강사들은 초급과정에 아메리칸 왈츠의 박스 턴(Box Turn)을 자주 활용하고 있습니다. 1/4회전(Quarter Turn)씩 네 소절을 행하면 박스모양이 되어 다시 처음 위치로 되돌아온다고 해서 박스 턴이라고 합니다. 영국식 왈츠에도 1/4회전은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왠지 모르게 대각선 턴은 영국식, 박스 턴은 미국식으로 인식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.  

 

아이스12-섀도클로즈내추1보.jpg

섀도포지션(Shadow Position)과 정상홀드(Normal Hold)에서 행하는 왈츠의 내추럴 턴 1보.

 

그리고 아메리칸 왈츠에서는 숙녀의 견갑골에 위치한 리더의 오른손을 해제하는 동작이 많은데 비해, 국제스타일에서는 쇼 댄스에서만 홀드해제를 허용하고 있습니다.

위의 사진을 보면 동일한 내추럴 턴을 섀도포지션에서는 두 사람이 같은 발로, 정상홀드에서는 반대발로 행하는 것을 알 수 있지요. 영국식은 정상홀드만을 사용하고, 아메리칸 왈츠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도 재미있습니다.

 

WDSF(World Dance-sport Federation)의 홀드에 관한규정을 보면 쇼댄스 스탠다드에서는 총 공연시간의 최대50%까지 스탠다드 정상홀드를 해제 할 수 있다(In Show-dance Standard the couple may release the normal Standard Hold for a maximum of 50% of the total duration of the performance)"는 조항이 있는데, 여기에서 말하는 스탠다드 정상홀드의 최소 규정은 남성의 왼손으로 여성의 오른손을 잡고, 남성의 오른손은 여성의 등에 위치하는 것입니다.

 

 

 

위의 첫 번째 영상은 대각선 회전량을 적용한 국제스타일의 내추럴 턴(Natural Turn)과 리버스 턴(Reverse Turn)을 소개하고 있으며, 두 번째 영상은 아메리칸 스타일의 내추럴 턴과 리버스 턴을 활용한 웨딩댄스(Wedding Dance) 안무입니다. 비교 감상하시면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. (김현덕 전문기자/khd650@nate.com)